서론
드라마 <중증외상센터>는 웹소설을 원작으로 제작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로, 한국의 중증외상센터에서 일어난 일을 모티브로 의사인 주인공이 재정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사람을 살리는 병원을 만들어가는 이야기입니다. 빠른 전개 속도와 출연진의 연기, 현실과의 연계성 등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드라마 <중증외상센터>의 등장인물과 줄거리, 현실에서의 중증외상센터 상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등장인물
주요 등장인물은 포스터에서 보는 것과 같이 주지훈, 추영우, 하영, 정재광, 윤경호이다. 특히 천재 외과의사이자 한국대학병원에 외사외과 교수로 부임한 백강혁 역을 맡은 주지훈과 항문외과 펠로우로 지내다 우연히 중증외상팀 당직 중 백강혁의 눈에 띄어 중증외상센터 멤버로 스카우트된 양재원 역을 맡은 추영우가 메인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외 중증외상팀 8년 차 종종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는 베테랑 간호사 천장미 역에 하영과 마취통증의학과 레지던트지만 타고난 센스와 침착함으로 백강혁의 인정을 받는 박경원 역의 정재광, 처음에는 자신의 펠로우를 뺏어간 백강혁에 분노하지만 응급 환자로 들어온 자신의 딸을 살려준 백강혁에게 고마움을 표하며 이후 적극적으로 돕는 항문외과 과장 한유림 역의 윤경호가 드라마 속에서 톡톡이 자신의 역할을 해냈다. 특히 백강혁의 경우 최근까지 현실의 중증외상센터를 책임지던 이국종 교수를 롤모델로 하였는데, 주지훈이 현실의 이국종 교수와 웹소설의 백강혁 캐릭터를 자신의 방식대로 적절히 잘 표현하여 캐스팅이 탁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줄거리 및 결말
드라마 <중증외상센터>의 공식적인 시놉시스는 "환자를 살릴수록 적자가 쌓이는 눈엣가시 대학병원 중증외상팀에 전쟁지역을 누비던 천재 외상 외과 전문의 백강혁이 부임해 유명무실했던 중증외상팀을 실제로 사람을 살리는 중증외상센터로 만들어 가는 이야기"로 중증외상센터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부터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으니 유의하세요.) 백강혁은 부임 첫날부터 한국대병원 응급실을 살피다 위급한 환자를 보고 자신의 취임식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에도 수술을 시작한다. 중증외상팀 당직이었던 양재원은 그의 천재성과 실력에 반하고 항문외과를 포기하고 백강혁처럼 되고 싶다는 마음으로 중증외상에 발을 들이게 된다. 이후 양재원은 응급환자를 구하기 위해 고소공포증을 극복하고 백강혁과 함께 헬기를 타고 다니며 수많은 사람을 장소를 가리지 않고 산에서든, 헬기에서든, 병원에서든 가능한 최선을 다해 노력한다. 중간쯤 백강혁이 잠깐 밥을 먹으러 나온 시간에 응급 환자 한 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는데 이때 주지훈은 내가 있었다면 살 수 있지 않았을까 하며 자책한다. 그러나 자책할 시간도 없이 새로운 환자들이 계속해서 들어오고 뛰어가는 모습이 나온다. 시놉시스의 표어가 "우린, 계속 뛰어야 한다!"인데 이런 대목에서 그들의 고충과 충원인력의 필요성을 절감할 수 있었다. 결말 부분에는 백강혁이 수술 중 부상을 입어 양재원이 집도의가 되어 그를 수술한다. 이후 항문, (노예) 1호 등으로 불리던 양재원을 깨어난 백강혁이 양재원 선생이라고 부르며 그의 수고와 실력을 인정하고 중증외상센터도 지원을 받아 테니스장에 비공식적으로 착륙하던 헬기를 대신해 닥터 헬기와 옥상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축하하는 행사가 열리던 마지막 장면에서 백강혁과 양재원은 헬기를 타고 "이게 중증외상센터"라고 말한 후 응급환자를 살리려 가며 끝이 난다. 8화로 마무리하여 시즌 2까지 제작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현실
긍정적으로 마무리된 드라마 <중증외상센터>와 달리 현실의 중증외상센터는 처참했다. YTN 보도에 따르면, 백강혁의 모티브가 되었던 이국종 교수는 2020년 1월 '복지부와 아주대 병원이 하는 건은 숨 쉬는 것 빼고 다 거짓말'이라는 말을 남긴 채 중증외상센터장을 그만두었다. 당시 아주대의료원장 유희석은 중증외상센터로 적자가 나는 상황에 이국종에 대한 불만들 갖고 있었으며 1년 계약인줄 알았던 이국종 교수의 계약이 2년이었다고 하자 화를 내고 욕을 하는 사건이 있었다. 결국 많은 어려움에 처했던 이국종 교수는 약 20년을 일했던 중증외상센터를 그만두고 한국을 떠났다. 이후 23년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국군대전병원장에서 업무를 시작했다고 한다. 중증외상센터는 이국종 교수가 떠난 이후에도 존재하긴 했으나 최근 국내 최초 외상외과 전문의 교육기관인 고려대구로병원 수련센터가 문을 닫기로 하며 더이상 외상외과 전문의가 클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 역시 예산 문제로 돈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사람의 생명을 살릴 수 있는 기회가 사라졌다. 드라마 <중증외상센터>와 현실 중증외상센터의 아이러니한 상황으로 문제상황이 인식되고 있어 현실에도 변화가 생길지 기대가 된다.